안녕하세요. 스콘입니다. 오늘은 제 얘기와 함께,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라는 직무를 꿈꾸게 된 계기, 그리고 제로베이스 데이터 사이언스 스쿨을 듣게 된 경위에 대해서 얘기해볼까 합니다. 1. 데이터 공부를 하기 전.. 약 1년 반 동안 한국은행을 준비했었습니다. 타 취업과는 다르게 유난히 정보가 폐쇄적이며, 수험생 수가 적었기 때문에 정보를 얻기 위해 발품을 많이 팔아야 했어요. 학교에 없는 경제 과목을 청강하기 위해 교수님들께 문의 메일도 많이 넣었었고, 서울대 친구의 아이디를 빌려 학교 커뮤니티 사이트도 들어가보곤 했습니다. 스터디를 구하기가 어려워 연합 스터디 또한 제가 구축해서 진행했습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코로나가 터져 학생들이 교내 스터디를 구하지 못해 제가 만든 스터디에 들어왔었죠. 그러나 ..
근래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로 희망 직무를 바꾸면서 관심을 갖게된 새 키워드가 있다. " 새롭게 보기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에게 몇가지 집중해야할 경험적 영역들이 있는데 당연하게도 그 중에 하나는 데이터 전문성이다. 데이터 간의 관계에 대해 단순히 눈에 보이는 현상 보다는 보다 많은걸 알고 있어야 하는게 데이터 과학자이다. 가령 심플하게 물가라는 수치를 가지고 이야기 해보자. 이를 공급 측면에 여파로 볼것이냐, 수요 측면의 여파로 볼 것이냐, 만약 수요 측면이라면 통화정책 측면인가, 아니면 재정정책 측면인가, 민간 소비에 의한 것인가? 수치 이면에 놓인 관계들에 대해 통찰할 수 있어야 내 모델이 낸 결과가 안좋은게 자료 문제인지, 내 모델 문제인지 등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경제학 내용은 그다지 와닿지 않으..
헤드라인 [ [마이데이터①] 마이데이터 시장, 승자독식 노리며 경쟁 격화. ] [ [마이데이터②] 국산 APIM 제품 득세…서비스 출시는 초읽기 ] 요약 : 지난 1월 금융위를 통해 API 방식의 금융 마이데이터 사업이 전면 시행됐다. 그동안 마이데이터 본 허가를 받은 기업이 55개사로 늘었으며, 빠르게 마이데이터 서비스 체계를 갖춘 17개 기업은 이미 지난해 12월 부터 시범 서비스를 개시했다. 마이데이터는 데이터의 관리 주체를 기존 기업 중심에서 개인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주체인 개인이 원할 때 특정 기업이 보유하고 있던 데이터들을 제 3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데이터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마이데이터 사업에는 주요 은행, 보험, 투자, 증권사 등은 물론,..
[기본 함수] open(), read(), write(), close() 를 이용한 텍스트 파일 다루기 file = open('어느 디렉토리의, 어떤 파일인지 파일 주소', 'w') : 파일 생성 또는 존재하는 파일을 연다. : 두번째 인수 'w'는 쓰기 모드를 의미한다. : 'r' 로 쓸 경우 읽기 모드를 말한다. file.write('쓸 내용') 파일에 쓸 내용이 적힌다. write() 는 쓸 내용에 문자가 몇개나 들어갔는지 그 값을 반환한다. ex) write('hello world!') 의 값은 12이다. 시행 착오 1. SyntaxError file = open('C:\Users\Jupiter\Desktop\mygit\LearnInZeroBase\pythonTxt\test.txt','w') 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