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M 서버 (vCPU 4Core/24GB memory) 를 평생 무료로 분양받을 수 있다는 소식을 듣고 분양 받았습니다.
Airflow 실습 및 스터디 용으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p.s. 한국 지역은 A1 수급이 안돼서, 저는 일단 AMD 기반 VM 으로 받았습니다.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하는데 다음에 시도해보려합니다. )
참고한 블로그: https://obtuse.kr/dev/oracle-cloud-free-arm-server/
오라클 평생 무료 ARM서버 만들기부터 포트열기 까지 A to Z 가이드 | obTech 블로그
오라클 클라우드 ARM서버 만드는 방법부터 Out of host capacity오류 해결방법, 고정 IP 설정방법, SSH 연결방법, 포트포워딩 방법까지 A 부터 Z까지 클라우드 컴퓨팅에 필요한 대부분의 것들을 다루는
obtuse.kr
Oracle Cloud Free Tier란?
- 상시 무료 서비스 정보
- 30일간 유료 플랜 무료 체험을 주고, 이후 상시 무료로 매월 CPU 3천 시간 사용할 수 있는 모양입니다.
서버 분양
가입 진행
- https://www.oracle.com/kr/cloud/ 에 들어가서 가입을 먼저 진행합니다.
visa와 같이 해외 결제되는 카드가 결제 인증수단으로 필요합니다. - 주의) 서울(춘천)을 선택할 경우 A1 수급 문제가 있기 때문에, A1을 사용하고 싶다면 다른 지역을 홈리전으로 택해야한다고 합니다. (한번 선택된 홈리전은 수정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 참고: https://amyish.tistory.com/25
인스턴스 생성
참고한 블로그: https://copycoding.tistory.com/434
- 메뉴 > Compute > Instances로 들어가서 Create Instance
Option
Capacity
- On-demand: 사용한 만큼만 지불 (일반적으로 선택하는 옵션)
- Preemptible Capacity: 저렴한 비용으로 일시적으로 자원 사용, 언제든지 인스턴스가 회수될 수 있는 옵션
- Reserved Capacity: 미리 자원을 예약하여 사용
- Dedicated Capacity: 단독으로 사용하는 서버에 인스턴스 할당
Image
- Ubuntu 22.04
- 참고로 Window는 추가 라이선스 비용이 있다고 합니다.
Shape
- 무료로 사용한다면, Always Free-eligible을 선택해야하고, 위의 상시 무료 서비스 정보에 맞는 자원을 선택해주어야 합니다. (AMPERE, 4 core OCPU, 24GB MEM)
- VM.Standard.A1.Flex
- Out of Capacity 일 경우,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nas/17168505
- 유료 계정으로 업글 후 받으면 Capacity가 있다고 합니다. ( 업글까지 담당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
- 자원을 그냥 무료 상시 사용만큼만 사용하면 과금이 안나온다고 하네요.
- 저는 일단 당장 사용하려고 OCPU 1, 1GB MEM 으로 받았습니다.
Network
- 처음 Oracle Cloud를 이용하는 것이라면, 새로운 가상 클라우드 네트워크를 생성해주어야 한다고 합니다.
- SSH Keys는 Pub와 Private에 대한 Pair key를 생성해서 모두 저장해놓습니다. telnet, ftp 접속 등에 사용된다고 합니다.
Volume
- 전제 볼륨 기준 200GB 까지 무료 입니다.
고정 IP 할당하기
SSH 연결을 위해서는 매번 변하는 IP가 아니라 고정된 IP가 필요합니다.
IP 관리 페이지 들어가기
- 컴퓨트 > 인스턴스 > 인스턴스 세부정보 페이지 > 네트워킹 > 연결된 VNIC 확인 > 할당 받은 VNIC 클릭 (instance-scone)
임시 IP를 고정 IP로 바꾸기
- IP 관리 > IPv4 주소에서 생성한 IP 관련하여 점 세개 클릭 > edit > 퍼블릭 IP 없음 클릭 후 업데이트
- 다시 edit 클릭 > 예약된 퍼블릭 IP 클릭 > 새 예약된 IP 주소 생성
SSH 연결하기
- Termius (SSH 클라이언트)
- 여러 개 서버를 관리할 때, 접속 비밀 번호 등을 기억하지 않아도 쉽게 관리할 수 있고, 접속 기록도 조회할 수 있고, 뭐가 엄청 편하다고 하다. ( 관련 리뷰 )
- 터미널에서 접속하기
- 인스턴스 세부정보에서 "사용자 이름"과 "퍼블릭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개인 키는 chmod 600 을 사전에 해줘야합니다. (파일 소유자만 읽기 쓰기를 갖음)
- 그리고 보통 키는 $HOME/.ssh/ 에 보관하는 것 같습니다.
ssh {사용자 이름}@{공용 IP 주소} -i {다운받은 개인 키 경로}
저만의 무료 클라우드 서버가 생겼습니다~
추가로 포트포워딩은 아래 글을 참조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근황 토크 및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ddy Note 주주총회] 가슴으로 이해하는 Agent, MCP, A2A (2) | 2025.04.30 |
---|---|
[파이썬 의존성 관리] UV 설치 및 사용 (0) | 2025.04.28 |
Prompt Engineering 기법 ( feat. Google 백서 for gemini ) (0) | 2025.04.24 |
내일, 네이버 1차 기술 면접을 봅니다. (2) | 2025.04.15 |
[서평] 데이터 과학을 위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제이펍 출판사 (4)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