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시작과 끝의 구분이 없는 순열을 말한다. 가령 1,2,3 이 있다고 하자. 순열에서는 {1, 2, 3}, {2, 3, 1}, {3, 2, 1} 은 다른 경우지만, 원순열에서는 서로 같다. 1, 2, 3 에 대한 원순열 의 경우의 수는 따라서 2 개 이다. ( {1, 2, 3}, { 1, 3, 2} ) 원순열의 공식 $$ {n! \over n} = (n-1)! $$ [실습1] 원순열을 계산해보자 # 4명의 친구가 원탁 테이블에 앉을 수 있는 순서의 경우의 수를 계산해보자. n = 4 ans = 1 for i in range(1,n): ans *= i print(ans) ''' 6 ''' (n-1)! 이므로 매우 간단히, for i in range(n) 하면 된다.
[개념] n개에서 r개를 택하여 나열하는 경우의 수 $$ \mathbin{ _n P _r } = { n! \over (n-r)! } = n(n-1)(n-2)\ ...\ (n-r+1) $$ 단, \( 0
[개념] 여러개의 항을 묶었을 때 규칙성을 가지는 수열 위 군수열은 그룹별로 묶은 각 군 안에서 등차 수열을 이룬다. 가령 50번째 항을 구한다고 해보자. 1군에 1개 항, 2군에 2개 항, 3군에 3개 항 ... 항의 갯수가 다음과 같은 규칙성을 가지므로, 9군까지 총 \( (1+9)*9/2 = 45 \) 항을 갖게 되고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항은 10군의 5번째 항이 되게 된다. \(\therefore\ \)50번째 항의 값은 : 5 이다. 다른 예를 봐보자. 다음 군수열의 53번째 항의 값을 구하시오. => 9군까지 45개, 따라서 10군의 8번째 항이 된다. 따라서 \( { 8 \over 3} \) [실습1] inputN = int(input('n 항 입력 : ')) n = 1 c = 0 sear..
헤드라인 [ 네이버·카카오와 한판 승부…금융사 AI 플랫폼 대전 ] 요약 : 국내 IT 정상 카카오, 네이버가 내놓은 금융 플랫폼에 맞서 기존 금융사 또한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DT)' 라는 메가트랜드에 발맞춘 대응 전략들을 내놓았다. 신한은행은 핀테크 부문에서 연일 '국내 금융권 최초'의 사례를 이어가고 있다. 자산관리 전문가가 모바일 상담을 해주는 '스마트 화상 시스템', AI 상담 서비스 '오로라', 로보어드바이저 '쏠리치' 등이 있다. '신한 AI 플랫폼(SACP; Sinhan AI Core Plaform)'은 자체 클라우드 환경을 활용해 AI 서비스 개발부터 운영까지 일괄적으로 자동 처리하는 프로세스다. 또한 신한은행은 금융 데이터 거래소를 통해 데이터를 판매하기도 했다. 금융 데이터 거래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