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알고리즘
[순위] 수의 크고 작음을 이용해 수의 순서를 정하는 것을 순위라고 한다. for문을 두번 돌리면 된다. 하나의 숫자에 대해 나머지 숫자들과 전부 비교하여 순위를 구하고 이를 모든 숫자에 대해 마찬가지로 반복한다. import random numbers = random.sample(range(50,101),20) rank = [0 for _ in range(20)] for idx,num1 in enumerate(numbers): for num2 in numbers: if num1 < num2 : rank[idx] += 1 print(f'numbers : {numbers}') print(f'rank : {rank}') for idx, num in enumerate(numbers): print(f'num :..
· 알고리즘
[binary search] 정렬되어 있는 자료구조에서 중앙값의 크고 작음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검색한다. 정렬되어 있지 않은 자료구조라면 먼저 정렬을 시켜 주어야 이진 탐색이 가능하다. 중앙값을 기준으로 검색 범위를 점차 좁혀나가는 방식이다. 다음과 같은 자료구조가 있다고 하자. [ 1, 2, 3, 4, 5, 6, 7, 8, 9 ] 이때 중앙값은 5 이다. 우리가 찾으려는 값을 2라고 한다면, 5보다 큰 값을 굳이 검색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 1, 2, 3, 4, 5 ] 여기서의 중앙값은 3이다. 따라서 4, 5는 필요가 없으므로 버려지게 된다. [ 1, 2, 3 ] 중앙값은 2 이다. 바로 내가 찾으려는 값이다. 반복문을 사용한 이진탐색 예시 코드 참조; 나동빈 (2020). . 서울시: 한빛미디어..
🥕 [ 백준 2775 ] 부녀회장이 될테야 문제 링크 url : https://www.acmicpc.net/problem/2775 2775번: 부녀회장이 될테야 첫 번째 줄에 Test case의 수 T가 주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케이스마다 입력으로 첫 번째 줄에 정수 k, 두 번째 줄에 정수 n이 주어진다 www.acmicpc.net 🍒 문제 분석 0층에는 각 호수 값만큼을 가지고 1층 이상 부터는 , 한층 아래의 호수 가운데 1호부터 자기 자신의 호수까지의 합을 값으로 가진다. 따라서 1층 2호는 1 + 2 = 3 을 가지고 2층 3호는 1 + 3 + 6 = 10 을 가진다. 🥑 코드 이중 리스트 append 하는 풀이 T = int(input()) for _ in range(T): k = int(in..
문제에서 0부터 시작하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문제에서 1부터 시작할 때, 1. 0번 인덱스를 사용할 것 인지 2. 0번 인덱스를 사용하지 않을 것인지를 정해야한다. 1번의 경우 숫자가 하나씩 밀리게 된다. => 가령 n개의 리스트를 만든다고 한다면, range(n+1)이 아니라 range(n)이 되는 셈 2번의 경우 0번 인덱스를 비우고 하게 된다.
scone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81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