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ne Repository 깃 주소 복사 clone 해서 가져왔는데 .git 폴더가 안보인다면 "control ," 를 누르면 setting이 뜬다. exclude를 검색해서 .git을 해제 한다. 유용한 Extention; Git Graph 하단의 git graph를 클릭하면, commit 기록이 다음 과 같이 한눈에 표시된다. commit 하지 않은 변경 사항에 대해서도 표시해준다. 변경된 문서, work1.txt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무엇이 변경되었는지 알려준다. work 6을 수행한 뒤 commit 해보자. 작업 수행 및 메시지 설정 commit 단축키 : 리눅스 기준, ctrl enter 만약 git을 처음 써서 name과 email 설정이 안되어있다면, config에 넣어준다. git c..
환경 : 우분투 리눅스 20.04 버전 깃 설치 apt-get install git config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자신의 계정"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자신의 이메일" git config --global color.ui "auto" git clone git clone 깃주소 참조 :https://do-study.tistory.com/9
[ 코드 ] branchname은 참고로 현재 branch를 처음막 만든 상황임으로 master 또는 main 이다. push git push origin pull git pull origin [실습] commit 까지 하여 HEAD에 올려둔 text.txt 파일을 서버에 업로드했다. (PUSH) pull을 실습하기 위해 git hub에 readme를 추가했다. 무언가를 하기 전 반드시 git status 확인해주기!! (필수) 작업할 내용이 없다는게 뜬다. 서버에 있는 readme가 local에도 반영 되었다. git status 필수
[Remote Repository 생성] Local Repository 에 연동할 Remote Repository 을 생성한다. Repository 에 접근할 용도로 사용할 Token을 생성한다. ( github에서 보안상의 이유로 더 이상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Token을 사용하겠끔 한다고 한다. ) Local Repository 에 Remote Repository를 등록한다. git reomote add origin http://github.com/.git 다음과 같이 등록하면, 아이디와 토큰을 github과 연동할 때 마다 입력을 해주어야 한다. Remote Repository에 등록 with Username and Token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