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함수] open(), read(), write(), close() 를 이용한 텍스트 파일 다루기 file = open('어느 디렉토리의, 어떤 파일인지 파일 주소', 'w') : 파일 생성 또는 존재하는 파일을 연다. : 두번째 인수 'w'는 쓰기 모드를 의미한다. : 'r' 로 쓸 경우 읽기 모드를 말한다. file.write('쓸 내용') 파일에 쓸 내용이 적힌다. write() 는 쓸 내용에 문자가 몇개나 들어갔는지 그 값을 반환한다. ex) write('hello world!') 의 값은 12이다. 시행 착오 1. SyntaxError file = open('C:\Users\Jupiter\Desktop\mygit\LearnInZeroBase\pythonTxt\test.txt','w') st..
[사용자 예외 클래스] Exception 클래스를 상속해서 사용자 예외 클래스를 만들 수 있다. class NotUseZeroException(Exception): def __init__(self, n): super().__init__(f'{n}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def div(n1,n2): if n2 == 0 : raise NotUseZeroException(n2) print(f'n1/n2 = {n1/n2}') num1 = int(input('숫자 1 : ')) num2 = int(input('숫자 2 : ')) try : div(num1,num2) except NotUseZeroException as z : print(f'Exception : {z}') ''' 숫자 1 : 12 숫자 2 : ..
[Exception] 예외 담당 클래스를 말합니다. 어떤 예외가 발생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num1 = int(input('정수입력 : ')) num2 = int(input('정수입력 : ')) try : print(f'num1/num2 : {num1/num2}') except Exception as e: # e에 어떤 예외인지 할당 print('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print(f'exception : {e}') print(f'num1+num2 = {num1+num2}') print(f'num1-num2 = {num1-num2}') ''' 정수입력 : 3 정수입력 : 0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exception : division by zero num1+num2 = 3 num1-num2 = 3 '..
[try ~ except ~ else] try 구문을 실행해서 에러가 발생 했을때는 except를 출력하고,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 else 구문이 출력된다. [실습1] 사용자로부터 숫자 5개 입력받아 짝수, 홀수, 실수로 구분해서 각각을 리스트에 저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자. 전 게시물에서는 conitnue를 써서 except 밑에 구문들을 실행할 필요 없게 했는데, try ~ except ~ else 는 어차피 else 구문을 실행하지 않으니 continue를 적을 필요가 없게 됐다. evenlist=[] oddlist=[] floatlist=[] n=5 while n>0: try : inputNum = float(input('숫자 입력 : ')) except : print('숫자만 입력하세요.')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