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rt() ] sort() 함수는 리스트를 오름차순으로 정렬된다. sort(reverse=True) 함수는 리스트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mylist = [1,2,3,49,23,43,23,3,5] mylist.sort() print(mylist) mylist.sort(reverse=True) print(mylist) # [1, 2, 3, 3, 5, 23, 23, 43, 49] # [49, 43, 23, 23, 5, 3, 3, 2, 1] [reverse()] 정렬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순서를 서로 바꾸는 함수이다. name = ['홍길동','강호동','박찬호','고길동'] name.reverse() print(name) # ['고길동', '박찬호', '강호동', '홍길동'] [실습1] 암호 해독..
sort()
![](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lCqQb%2FbtrAx6YIR8f%2FBnepxlJjwjOBtynbznrik0%2Fimg.png)
[개념] 두 개 이상의 수에서 공통된 약수를 공약수라고 한다. 그리고 그 중 가장 큰 값을 최대 공약수라고 한다. 사례) 12, 54, 72의 최대 공약수를 구해보자 2 12 54 72 3 6 27 36 2 9 12 다음과 같이 나누기 연산으로 최대 공약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 2*3 = 6 ) [실습 1] 두 개의 수를 입력하면 공약수와 최대 공약수를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하자 # num1, num2 = map(int, (input().split()).sort()) 이렇게 하면 오류남 num1, num2 = map(int, sorted(input().split())) max_num = 1 for n in range(2,num1+1): if num1 % n == 0 and num2 % n == 0: m..